본문으로 건너뛰기

"차이를 만드는 AWS 클라우드 보안 첫걸음" 태그로 연결된 11개 게시물개의 게시물이 있습니다.

모든 태그 보기

AWS Secret Manager & AWS WAF, AWS Shield

· 약 4분

AWS Secret Manager

AWS Secret Manager의 개념

  • 애플리케이션, 서비스, IT 리소스에 액세스할 때 필요한 보안 정보를 보호
  • 수명 주기에 걸쳐 데이터베이스 자격 증명, API 키 및 다른 보안 정보를 손쉽게 교체, 관리 및 검색할 수 있음

Secret Manager 특징

  • 보안 정보(암호, API Key 등)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
  • 보안 정보의 주기적인 교체(Rotation) 지원
  • CloudFormation 등 다른 서비스와 연동하여 안전한 보안 확보 가능

AWS VPC 및 네트워크 보안

· 약 2분

Security Group (보안그룹)

  • 인스턴스에 대한 Inbound 및 Outbound 트래픽을 제어하는 가상 방화벽 역할
  • VPC에서 인스턴스 시작시, 최대 5개의 보안 그룹에 인스턴스 할당 가능
  • 기본적으로 모든 포트는 비활성화
  • 선택적으로 트래픽이 지나갈 수 있는 Port와 Source를 설정 가능
  • Deny는 불가능
  • 인스턴스 단위 : 하나의 EC2 인스턴스에만 적용되고, 하나의 인스턴스에 하나 이상의 보안 그룹을 설정할 수 있음
  • Stateful : Inbound로 들어온 트래픽이 별다른 Outbound 설정 없이 나갈 수 있음

AWS CloudTrail 및 CloudWatch

· 약 3분

AWS CloudTrail

  • AWS 계정의 거버넌스, 규정 준수, 운영 감사, 위험 감사를 지원하는 서비스
  • AWS 인프라에서 계정 활동과 관련된 작업을 기록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, 보관할 수 있음
  • AWS 보안 감사를 위한 서비스 : CCTV
  • 여러 서비스에 대한 API 이용 로그 등 제공
    • API 호출의 시간 및 결과, 에러, 사용 인증 정보 등을 기록
    • AWS CLI, 콘솔 이용, API 호출 등 모든 이벤트가 대상
    • 일부 Data API의 경우 수동으로 활성화 필요

AWS S3 암호화 및 버킷 정책

· 약 3분

S3 암호화

Amazon S3

  •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: 파일 보관만 가능
  • 글로벌 서비스 단, 데이터는 리전에 저장
  • 무제한 용량 : 하나의 객체는 0byte에서 5TB의 용량
  • 내구성 : 99.999999999% 내구성

S3의 보안 설정

  • S3 모든 버킷은 새로 생성시 기본적으로 Private(비공개)
  • 보안 설정은 객체 단위버킷 단위로 구성
  • MFA를 활용해 객체 삭제 방지 가능
  • Versioning을 통해 파일 관리 가능
  • 액세스 로그 생성 및 전송 가능

AWS 암호화 및 KMS, ACM

· 약 4분

암호화(Encryption)

암호화

  • 암호화 기술을 사용하는 상황
    • 저장된 데이터 보호(Encryption At Rest)
    • 전송 중 데이터 보호(Encryption At Transit)
  • 암호화 방법 : 대칭키 암호화, 비대칭키 암호화

저장된 데이터 보호

  • 데이터를 저장할 때 암호화, 필요할 때 복호화 하는 방식
  • 주로 하나의 물리적인 기기에 보안을 적용하기 위해 사용
  • 주로 키 팔일 혹은 암호를 사용하여 암호화/복호화

AWS와 보안 - CIA, AAA, AWS 보안

· 약 7분

보안이란?

시스템, 네트워크, 데이터, 애플리케이션 등의 정보기술의 무결성을 유지하고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관리적, 기술적 방법


CIA 모델

  • Confidentiality 기밀성
  • Intearity 무결성
  • Availability 가용성
위 세가지를 중심으로 한 보안 모델

-> 이 모델을 통해 다른 카테고리를 추가 / 보안하여 모델 적용

AWS와 클라우드 컴퓨팅 - 클라우드 컴퓨팅, 리전 선택시 고려사항, AWS 계정

· 약 5분

클라우드 컴퓨팅 개념

클라우드 컴퓨팅은 IT 리소스를 인터넷을 통해 온디맨드로 제공하고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는 것

클라우드 = 빌려쓰기

AWS 인프라 구성

AWS의 리전(Region)

  • 각 리전에는 고유의 코드가 부여됨
  • 리전별로 가능한 서비스가 다름

AWS와 계정과 EC2 - IAM, Root, EC2

· 약 7분

IAM의 개념

AWS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(IAM)를 사용하면 AWS 서비스와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. 또한, AWS 사용자 및 그룹을 만들고 관리하며 AWS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 및 거부할 수 있습니다.

  • AWS의 보안 및 관리를 담당하는 글로벌 서비스

주요 기능

  • AWS 어카운트 관리 및 리소스 / 사용자 / 서비스의 권한 제어
  • 사용자의 생성, 관리, 계정의 보안
  • 다른 계정과의 리소스 공유
  • Identity Federation(Facebook 로그인, 구글 로그인 등)

AWS와 VPC와 NAT

· 약 3분

VPC (Virtual Private Cloud)

  1. VPC란?
  • 사용자의 AWS 계정 전용 가상 네트워크
  • 원하는 대로 사설망 구축 가능
    • 부여된 IP 대역을 분할하여 사용 가능
  • 리전 단위
  1. VPC 활용
  • EC2, RDS, Lambda 등의 AWS 컴퓨팅 서비스 실행
  • 다양한 서브넷 구성
  • 보안 설정(IP, Block, 인터넷에 노출되지 않는 EC2 등 구성)